DCW Exhibition: The Green Ray
DCW Exhibition: The Green Ray
2025. 8. 6. - 9. 13.
Doosan Art Center Doosan Gallery
curation | Kim Yurmyurng, Kim Jinju, Shin Jaemin
artist | Kang Youjeong, Kim Jeonggak × Baek Yunsuk, Lotta Törnroth, Park Jung Yeon, Emmy Skensved, Chang Younghae, Cha Sla, Team Hansan (Yang Yeonhee, Jeong Haseullin, Jo Wheekyung, Hong Jayoung), Hwang Yezoi
photo | Poles, Park Yujun (Park Sehee)두산 큐레이터 워크숍 기획전: 녹색 섬광
2025. 8. 6. - 9. 13.
두산아트센터 두산갤러리
기획 | 김여명, 김진주, 신재민
작가 | 강유정, 김정각 × 백윤석, 로타 퇴른로트, 박정연, 에미 스켄스베드, 장영해, 차슬아, 팀 한산 (양연희, 정하슬린, 조휘경, 홍자영), 황예지
사진 | 폴스, 박유준 (박세희)
he Green Ray brings together three exhibitions by Kim Yurmyurng, Kim Jinju, and Shin Jaemin, each resonating as a distinct strand of sensation and meaning. The title of the exhibition refers to an optical phenomenon—a faint green light that shimmers at the sun’s edge near the horizon just after sunrise or before sunset. This light appears so rarely that capturing its fleeting possibility demands both acute sensitivity and persistent patience. Drawing on this rare moment and the attentive perseverance required to witness it, the exhibition examines and reconfigures the rhythms of daily life and seeks to extend the private sphere into the public realm. In doing so, it illuminates the present—one that exists in the interstice between a repetitive past and an opaque future—and proposes a spatiotemporal context where we may encounter one another in a state of balance cultivated through resonance with others.
The green ray, appearing and vanishing in an instant, creates a moment where boundaries—day and night, sky and sea—converge and fold into one. In a similar way, The Green Ray encircles these three exhibitions, forming an interface where their distinct practices meet. Sessions designates the discontinuous yet sequential times within a life divided into two parts, labor and rest. From these sessions, the exhibition seeks methods for continually imagining the future. Waves Leave Time Behind presents community not as a fixed entity but as a sense of suspended contact and non-binding solidarity, situated within an unfinished current where individual emotions and memories merge under the name of “we.” Flickering, or Glimmering traces the pathways through which sensations rooted in impossibility are articulated as social mourning and collective memory, following the layer of grief that cannot be reduced to a singular emotional form.
These three exhibitions create spaces where unnamed emotions can linger, reveal intervals that today’s rhythms cannot accommodate, and compose scenes that are at once private and structural, trivial yet inevitable. Through the questions, examinations, delays, and detours operating within them, we might find ourselves able to be lonely together, mourn together, and imagine different lives together.《녹색 섬광》은 김여명, 김진주, 신재민의 세 전시가 세 가지 감각과 의미의 줄기를 이루며 공명하는 기획이다. 전시 제목인 ‘녹색 섬광’은 일출 직후나 일몰 직전, 수평선 가까이에서 태양의 가장자리에 희미하게 일렁이는 녹색 빛의 광학 현상을 가리킨다. 이 빛은 극히 드물게 나타나기 때문에 찰나의 가능성을 포착하려는 예민한 감각과 집요한 인내가 요구된다. 희소한 순간과 그것을 붙잡으려는 태도를 빌려, 전시는 각자의 일상적 삶이 가진 리듬을 점검하거나 재구성하고, 사적인 삶을 공적인 영역으로 확장해 보는 시도를 담는다. 이를 통해 반복되는 과거와 불투명한 미래 사이 틈으로 존재하는 현재를 조명하고, 타인과 공명하며 스스로 균형을 잡는 감각 속에서 서로를 마주하는 시공간을 제시한다.
찰나에 나타났다 사라지는 녹색 섬광은 낮과 밤, 하늘과 바다가 교차하는 경계가 하나로 포개지는 순간을 만들어낸다. 이처럼 《녹색 섬광》은 세 개의 전시를 외곽처럼 두르며, 각 실천의 마주침이 발생하는 접면을 구성한다. 《세션들》은 노동과 휴식으로 양분된 삶의 형식 안에서 불연속적으로 연쇄되는 시간들을 세션으로 명명하고 그로부터 미래를 계속 상상하는 방법을 모색해 본다. 《이 해 바다》는 개인의 감정과 기억이 ‘우리’라는 이름으로 포개지는 미완의 흐름 속에서, 공동체를 고정된 실체가 아닌 유예된 접촉의 감각이자 비결속적 연대로 제시한다. 《점멸하는, 혹은 그렇지 않은》은 단일한 감정의 형태로 환원되지 않는 애도의 층위를 따라, 불가능성에 기인한 감각이 사회적 애도와 공동의 기억으로 발화되는 경로를 그려낸다.
세 전시는 명명되지 않은 감정이 체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오늘의 리듬이 감당하지 못하는 어떤 사이를 보여주며, 사적인 동시에 구조적이고 사소하면서도 불가피한 장면을 구성해낸다. 그 속에서 작동하는 질문, 점검, 지연, 우회와 같은 접근을 통해 우리는 함께 외로워지고, 함께 슬퍼하고, 함께 다른 삶을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